캄란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란 전투는 아서 왕과 모드레드의 죽음을 다룬 전설적인 전투로, 10세기의 《캄브리아 연대기》에 처음 언급되었다. 역사적 사실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535-536년의 기상 이변과 관련된 기근의 여파로 발생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지만,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전설로 간주한다. 캄란의 위치는 로마 시대 요새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중세 웨일스 문학에서는 브리튼 섬에서 벌어진 3대 전투 중 하나로 묘사된다.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브리타니아 열왕사》 이후의 문헌에서는 모드레드의 반란을 아서 왕이 진압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전투로 묘사되며, 중세 기사도 로망스에서는 아서 왕의 죽음과 아발론으로의 이동을 주요 내용으로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설의 전투 - 바돈산 전투
바돈산 전투는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 브리튼족과 앵글로색슨족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아서 왕이 브리튼 군대를 이끌고 승리했다는 기록으로 아서 왕 전설과 관련된 중요한 전투로 여겨진다. - 햄프셔주 - 제1항공여단 (영국)
제1항공여단은 영국 육군의 항공 부대로서 헬리콥터 부대인 제1항공여단전투단을 중심으로 항공 정찰, 공격, 지상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아구스타웨스트랜드 AW159 와일드캣 AH1, 보잉 AH-64E 아파치 헬리콥터, 탈레스 워치키퍼 WK450 무인 항공 시스템 등을 운용하고 잉글랜드 남부에 주둔한다. - 햄프셔주 - 올더숏 (영국 의회 선거구)
1918년 신설된 잉글랜드 햄프셔주 북동부의 올더숏 선거구는 보수당 강세 지역이었으나 2024년 총선에서 노동당 알렉스 베이커가 당선되었고, 올더숏과 판버러 지역을 대표하며 군사 시설, 정보 기술, 항공, 군수품 산업이 발달하였다.
캄란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 캄란 전투 |
![]() | |
날짜 | 537년 (전설에 따른 기록) |
장소 | 불명 |
결과 | 아서왕의 승리, 그러나 치명상을 입음.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없음 |
교전국 2 | 없음 |
지휘관 및 지도자 | |
지휘관 1 | 아서왕† |
지휘관 2 | 모드레드† |
병력 규모 | |
병력 1 | 불명 |
병력 2 | 불명 |
사상자 및 피해 | |
사상자 1 | 전 병력 |
사상자 2 | 전 병력 |
기타 정보 | |
기타 | 없음 |
2. 역사
캄란 전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0세기 웨일스 연대기인 《캄브리아 연대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537년의 기록에는 "아르투르와 메드라우트(후일의 모드레드)가 쓰러지고, 브리튼과 아일랜드에 큰 사망자가 발생한 캄란의 갈등"이 언급되어 있다.[5][6] 이것은 메드라우트(모드레드)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기도 하지만, 그와 아르투르가 같은 편에서 싸웠는지, 아니면 누가 전투에서 승리했는지는 명시하지 않는다.
앤드루 브리즈 (2020)는 이 전투가 역사적 사실이며, 535–536년의 극심한 기상 이변과 관련된 기근의 여파로 발생했으며, 이는 ''캄브리아 연대기''의 표현대로 "브리튼과 아일랜드에 큰 사망자"를 야기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캄란을 중앙 브리튼에 대한 가축 약탈로 해석하며, R.G. 콜링우드의 말을 인용하여 캄란을 "하드리아누스 방벽의 캄보글란나"와 동일시하는 것이 "설득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아르투르와 캄란 전투를 전설로 간주한다.[9][10] 닉 하이엄은 9세기 ''브리튼 열왕사''에 아르투르의 전투 목록에 캄란이 언급되지 않은 점을 들어, ''캄브리아 연대기''의 출처는 아마도 다른 아르투르, 아마도 디페드 왕국 왕들의 계보에 나오는 인물에 대한 고대 웨일스 애가나 비가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브리타니아 열왕사』 이후의 문헌에서는 일반적으로 "아서 왕의 원정 중에 모드레드가 반란을 일으켰고, 그것을 아서 왕이 토벌했지만, 중상을 입었기 때문에 치료를 위해 아발론으로 향한다"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2. 1. 캄란 전투의 장소
캄란 전투가 벌어진 정확한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몬머스의 제프리는 캄란 전투가 콘월의 카멜 강에서 벌어졌다고 기록했다.[40][41] 캄란이라는 명칭은 로마 제국의 캄보글라나 요새에서 유래한 브리손어 캄보글라나(‘비뚤어진 제방’이라는 뜻) 또는 캄보란다(‘비뚤어진 울타리’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1][2][3][4]3. 전설
웨일스 지역의 민간 전승을 담은 《웨일스 전설집》은 캄란 전투를 ‘브리튼 섬에서 벌어진 부질없는 3대 전투' 가운데 하나로 기록하고 있다. 이 전설집은 몬머스의 제프리가 저술한 《영국의 연대기》의 기록을 받아들여 모드레드가 아서 왕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고, 결국 왕위를 놓고 둘 사이에 캄란 전투가 벌어졌다고 설명한다.[42]
3. 1. 중세 웨일스 전통
초기 웨일스 문학은 캄란 전투를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한다. ''Englynion y Beddau''(무덤의 연시)는 캄란 전투를 오스프란의 아들의 무덤이 있는 장소로 언급한다.[12][13] ''킬후흐와 올웬''은 캄란 전투에서 살아남은 세 명의 인물 (모르프란 아일 테기드, 산데 브리드 앙겔, 키뉘윌 산트)을 언급하며, 전투의 치열함을 강조한다.[12][14][15] 모르프란은 끔찍한 외모 때문에, 산데는 천사같은 아름다움 때문에, 키뉘윌은 아서 곁을 가장 늦게 떠났기 때문에 살아남았다고 한다.[12][14] 웨일스 삼위일체는 캄란 전투의 원인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삼위일체 51은 메드라우드(모드레드)가 아서가 대륙에서 원정을 하는 동안 반역을 일으켜 왕위를 찬탈하고, 이로 인해 전투가 시작된다고 설명한다.[17] 삼위일체 53은 궨휘바흐가 아서의 아내인 그녀의 자매 궨휘바르(기네비어)에게 가한 뺨 한 대를 "브리튼 섬의 세 가지 해로운 타격" 중 하나로 꼽으며, 이는 캄란의 갈등을 야기한다.[18] 캄란을 브리튼의 "세 가지 헛된 전투" 중 하나로 칭하는 삼위일체 84는 자매들 간의 이 분쟁을 언급한다.[19]3. 2. 연대기 전통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유사 역사 연대기인 《브리타니아 열왕사》는 캄란 전투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1136년경에 쓰여진 이 책은 기존의 웨일스 전통에 기반하여 꾸며낸 세부 사항으로 이야기를 장식했다.[23] 제프리의 초점은 개인보다는 '영국 민족의 성격'에 맞춰져 있었다.[23] 제프리의 책에서 아서 왕은 로마 지도자 루시우스 티베리우스와 싸우러 가면서 조카 모드레두스(모드레드)에게 브리튼을 맡긴다. 아서가 없는 동안 모드레두스는 아서의 아내 구엔후바라(기네비어)와 몰래 결혼하고 왕위를 차지한다. 아서가 돌아와 그의 군대는 캄블라나(콘월의 카멜 강)에서 모드레두스의 군대와 격돌한다. 이 전투에서 모드레드를 포함한 많은 사람이 죽고, 아서는 치명상을 입어 회복을 위해 아발론 섬으로 옮겨진 후 왕위를 그의 친척 콘스탄틴에게 넘겨준다.[15][24]제프리의 작품은 큰 영향을 미쳐, 와스의 앵글로-노르만어 《로망 드 브뤼》(c. 1155), 레이아몬의 중세 영어 《브뤼》(13세기 초), 그리고 웨일스어 《브뤼 이 브렌히네드》(13세기 중반)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 1400년경에 쓰여진 중세 영어 운율적 《모르테 아르투르》를 포함한 여러 후기 작품들이 제프리의 설정을 따르고 있다.[25] 일반적으로 연대기 전통은 제프리를 따라 캄란을 콘월의 카멜에 위치시킨다. 와스는 이를 "콘월 입구 건너편의 카멜"에 위치시켰고,[26] 레이아몬은 그 위치를 캠멜포드로 특정했다.[27] 존 오브리는 그의 《모누멘타 브리타니카》(1663–1693)에서 이 전투를 기념하여 "말과 사람 모두를 위한 갑옷 조각들이 땅을 파면 여러 번 발견된다"고 보고했다.[28] 레이아몬의 이야기에서는 아서와 그의 이름 없는 두 기사만이 전투에서 살아남는다. 와스는 "나는 그날 누가 졌는지, 누가 이겼는지 알지 못한다. 아무도 패배자나 패배자의 이름을 알지 못한다. 승리자와 죽은 자 모두 잊혀졌다."라고 썼다.[29]
『브리타니아 열왕사』 이후의 문헌에서는 일반적으로 "아서 왕의 원정 중에 모드레드가 반란을 일으켰고, 그것을 아서 왕이 토벌했지만, 중상을 입었기 때문에 치료를 위해 아발론으로 향한다"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브리타니아 열왕사』에 따르면 캄란 전투는 베이든 언덕 전투에서 20년 후라고 한다.
3. 3. 중세 로맨스 전통
기사도 로망스 문학은 캄란 전투를 아서 왕 전설의 핵심적인 사건으로 다루었다. 프랑스어 랜슬롯-성배 (벌게이트) 사이클의 일부인 벌게이트 ''모르 아르튀''는 캄란 전투의 배경과 결과를 상세하게 묘사한다.[30] 아서 왕은 로마와 싸우기 위해 프랑스로 가는 것이 아니라, 귀네비어와 불륜을 저지르고 아서의 조카들 (모드레드와 가웨인의 형제)인 아그라뱅, 가에리스, 가레스를 죽인 그의 전 수석 기사 랜슬롯을 추적하기 위해 간다. 아서 왕은 떠날 때 모드레드에게 브리튼을 맡겼지만, 모드레드는 그를 배신하고 왕위를 찬탈한다. 아서는 그의 베테랑 군대를 브리튼으로 데려와 모드레드의 세력과 대결하는데, 모드레드는 영국 지지자들과 외국 동맹 (색슨족과 아일랜드인)을 포함하여 아서보다 두 배나 많은 병력을 가지고 솔즈베리 평원 (Camlann은 언급되지 않음)에서 맞이한다. 전투는 운명의 우연으로 시작되는데, 모드레드와 아서 사이의 대치 협상 중 놀란 기사가 살무사를 죽이기 위해 칼을 뽑으면서 시작된다. 엄청난 수의 사망자가 양쪽에서 발생한 후 ( 성배 탐구 이후 남은 여러 왕들과 대부분의 원탁의 기사 포함), 아서는 결투에서 모드레드를 죽이지만, 자신도 치명적인 부상을 입는다. 죽어가는 아서는 기사 (이야기에 따라 그리플렛 또는 베디비어)에게 그의 검 엑스칼리버를 호수의 여인에게 돌려줄 것을 명령하고, 그 후 아발론으로 데려가진다. ''모르 아르튀''는 그 잔혹하고 피비린내 나는 전투로 인해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죽어, 그 후 아서의 "로그레스 왕국은 멸망했고, 그와 함께 브리튼의 많은 다른 사람들"도 멸망했다고 한탄한다.[31]아서의 마지막 전투에 대한 이 이야기는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많은 후속 작품으로 각색되었으며, 여기에는 고대 프랑스어 포스트-벌게이트 사이클 (아서가 모드레드와 화해를 거부하는 내용), 중세 영어 스탠자이크 ''모르테 아서'',[32] 그리고 토마스 맬러리의 영향력 있는 중세 영어 작품 ''아서 왕의 죽음''이 포함된다.[33] 이 작품들은 모두 솔즈베리에서 전투가 벌어진다고 묘사한다.[34] 이탈리아어 ''라 타볼라 리톤다''에서는 모드레드가 아서와의 전투에서 살아남아 새로운 왕이 되면서 승리하지만, 나중에 랜슬롯에게 패배한다.
3. 4. 아발론 전승
제프리 오브 몬머스는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 아서 왕이 캄란 전투에서 입은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아발론 섬으로 옮겨졌다고 기록했다.[35] 그의 후기 저서 《멀린의 생애》에서는 아발론을 이계적이고 마법적인 섬으로 묘사하며, 아서가 탈리에신에 의해 아발론의 모르간 르 페이(모르겐)에게 인도되었다고 상세히 설명한다.[35] 후대의 산문 작가들은 모르간 르 페이 자신이 요정 배를 타고 왕을 데려가는 모습을 묘사했으며, 이 장면은 《아서 왕의 죽음》에 포함되어 상징적인 장면이 되었다.웨일스의 제럴드[36]와 같은 일부 기록에서는 아서가 아발론(글래스턴베리 토르로 식별)에서 죽어 그곳에 묻혔다고 밝힌다. 제프리는 아서의 상처가 결국 치유될 수 있다는 희망적인 가능성만 제시하지만, 모르간에 의한 아서의 성공적인 부활은 《영국 왕들의 업적》에서 제프리의 개작에서 사실로 언급된다. 와스와 라야몬 또한 이 일이 일어났다고 말하며, 아서가 곧 돌아올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불가타 모르 아르튀》[37]와 말로리의 《아서 왕의 죽음》[38]과 같은 다른 버전들은 아서의 최종 운명에 대한 확실한 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4. 현대적 해석
아서 왕 전설에서 캄란 전투는 몰락과 파멸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이다. 이 전투와 아서 왕의 죽음은 비극적 영웅 서사의 전형으로,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활용된다. 정치, 사회,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캄란 전투는 비극적인 종말이나 몰락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Celtic
Brill
[2]
논문
Datblygiadau Cynnar Chwedl Arthur
[3]
서적
The Arthurian Handbook, Edition 2
Taylor & Francis
[4]
서적
Trioedd Ynys Prydein: The Welsh Triads
University of Wales Press
[5]
뉴스
Camlan {{!}}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http://d.lib.rochest[...]
2018-07-31
[6]
서적
King Arthur: The Making of the Legend
Yale University Press
[7]
서적
British Battles 493-937: Mount Badon to Brunanburh
[8]
웹사이트
Camlann and 537
https://www.research[...]
2021-04-19
[9]
간행물
So Much Smoke
2018-12-20
[10]
간행물
Review of Nicholas J. Higham, King Arthur: The Making of the Legend
[11]
서적
King Arthur: The Making of the Legend
[12]
서적
A Welsh classical dictionary : people in history and legend up to about A.D. 1000
The National library of Wales
[13]
서적
[14]
서적
Culhwch and Olwen: An Edition and Study of the Oldest Arthurian Tal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ales Press
[15]
백과사전
Camlan
https://books.google[...]
ABC-CLIO
2006
[16]
서적
Concepts of Arthur
Tempus
[17]
웹사이트
A Companion to Arthur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
[18]
웹사이트
The Welsh Triads (Siân Echard,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http://faculty.arts.[...]
2018-06-07
[19]
웹사이트
The Romance of Arthur: An Anthology of Medieval Texts in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7-17
[20]
서적
A Welsh classical dictionary : people in history and legend up to about A.D. 1000
The National library of Wales
[21]
뉴스
The Dream Of Rhonabwy {{!}}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http://d.lib.rochest[...]
2018-07-31
[22]
뉴스
Mordred {{!}}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http://d.lib.rochest[...]
2018-07-31
[23]
학술지
Adultery and the Fall of Logres in the Post-Vulgate "Suite du Merlin"
1997-12
[2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
https://en.wikisourc[...]
[25]
뉴스
Alliterative Morte Arthure, Part IV {{!}}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http://d.lib.rochest[...]
2018-07-31
[26]
뉴스
The Death of Arthur [by Wace] {{!}}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http://d.lib.rochest[...]
2018-07-31
[27]
뉴스
The Death of Arthur [by Layamon] {{!}}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http://d.lib.rochest[...]
2018-07-31
[28]
서적
Monumenta Britannica: Or, A Miscellany of British Antiquities
https://books.google[...]
Dorset Publishing Company
[29]
학술지
Surviving Camlann
https://www.jstor.or[...]
[30]
웹사이트
Mort Artu I
http://www.ancientte[...]
2018-07-31
[31]
서적
Lancelot-Grail: The death of Arthur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32]
뉴스
Stanzaic Morte Arthur, Part 3 {{!}}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http://d.lib.rochest[...]
2018-07-31
[33]
웹사이트
Le Morte D'Arthur, Vol. II (of II) by Sir Thomas Malory
https://www.gutenber[...]
2018-07-31
[34]
뉴스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Arthurian Legends {{!}}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http://d.lib.rochest[...]
2018-07-31
[35]
웹사이트
Vita Merlini: The Life of Merlin
https://www.maryjone[...]
2018-07-31
[36]
뉴스
The Tomb of King Arthur {{!}} Robbins Library Digital Projects
http://d.lib.rochest[...]
2018-07-31
[37]
서적
The History of the Holy Grail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2010
[38]
논문
“‘… ‘IF INDEED I GO’: ARTHUR’S UNCERTAIN END IN MALORY AND TENNYSON.” ''Arthurian Literature XXVII'', pp. 19–32."
[39]
문서
マロリー版など多くの伝説によれば、どういうわけかアーサー王はエクスカリバーを使っておらず、槍で戦っている。画像も参照のこと。
[40]
서적
The Arthurian handbook
Taylor & Francis
1997
[41]
서적
Trioedd Ynys Prydein: the Welsh triads
University of Wales Press
1961
[42]
서적
세계문학사 작은사전
가람기획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